본문 바로가기
나의_하루/STUDYING_[경제공부]

가동률 (Rate Of Operation) & 제조업평균가동률갭

by 또밤_ 2025. 9. 30.
반응형

 

 

 

가동률 Rate Of Operation 

가동률이란, 생산설비가 어느 정도 이용되는지를 나타내는 지표로,

매월 통계청에서 우리나라의 제조업 생산능력 및 가동률지수를 발표한다.  

 

생산실적 / 생산능력 * 100 OR 실제가동시간 / 총운용시간 * 100

생산능력 : 설비, 생산시간, 인력 등 정상적인 조업환경 하에서 생산할 때 최대 생산 가능량

 

- 100에 가까울수록 생산설비가 최대로 활용되고 있음을 뜻함

 수치가 낮을 수록 유휴 상태인 설비가 많음을 뜻함

<역할>

- 기업들은 경기 활성도를 예상하여 가동률을 조절하기 때문에 경기의 단면을 보여주는 지표로 이용

ex) 경기 침체 상황에서 기업이 가동률을 높이는 것은 경기가 곧 회복될 것이라는 신호로 인식

      경기가 활황세인 상황에서 지나치게 높은 가동률은 인플레이션 우려를 낳는다

- 경영 상태를 분석하거나 산업 활동 수준을 분석하는 등의 활용

- 설비의 효율성과 최대 생산 능력과 비교하여 생산이 어느정도 이루어지 지고 있는지를 파악하는 수치로 활용

 

 

 

 

제조업평균가동률갭 Manufacturing Average Capacity Utilization Gap

제조업의 평균 가동률만으로는 유휴생산능력이 있는지 여부와 그 크기를 판단하는데 한계가 있기 때문에, 

한 시점에서의 제조업평균가동률이 동 가동률의 잠재수준에서 얼만큼의 편차를 보이는가를 계산하여

참고로 활용하는데 이 편차를 제조업평균가동률갭이라고 한다.

가동률갭 = 현재 가동률 - 잠재 가동률

- 마이너스이고 절대 값이 클수록, 유휴생산능력이 확대되고 있는 것을 의미

   → 경기과열, 인플레이션 압력, 공급 병목 등 가능성 有

- 플러스이면서 절대 값이 클수록, 공급측면에서의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는 것을 보여줌 

   → 경기 침체 가능성 有

<역할>

- 공장이 잘 가동되고 있는지에 대한 지표

- 제조업 경기 상황, 설비투자 시기, 잠재 성장률 등을 가늠할 수 있는 기준

- 경제 정책 수립 전 참고 자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