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나의_하루/STUDYING_[경제공부]

가계수지 vs 경상수지 vs 재정수지

by 또밤_ 2025. 9. 11.
반응형

 

가계수지 (household's total income and expenditure)

 

가정에서 일정 기간동안의 소득과 지출 구조, 소비 패턴 등을 분석하여

'가정에서의 돈이 들어오고 나가는 흐름'을 나타나는 것을 말한다.

 

가계수지는 통계청에서 표본으로 선정된 가정에 가계부를 나누어주고 한 달간의 소득과 지출을 기록하도록 한 후,

이를 기반으로 가계수지를 분석해낸다.

  구성

소득항목/가계수입 - 근로소득, 사업소득, 재산소득(배당, 임대료, 이자), 이전소득(연금, 보조금)

비용항목/가계지출 - 주거비, 식비, 통신비, 의료비, 교통비, 교육비, 문화생활비, 세금, 건강보험료, 사회보험, 국민연금, 이자비용 등

  결과

가계수지 흑자 : 수입 > 소비 → 투자, 저축 등 가능

가계수지 적자 : 수입 < 소비 → 빚 증가 OR 자산을 줄여 충당

  활용

국민의 소득수준과과 국민 생활 수준, 물가 수준, 경기 상황 등을 파악하는 지표로 활용한다.

 

경상수지 (Current Account)

한 나라가 외국과 상품, 서비스 등을 사고 파는 (경상거래)의 결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간단하게, 나라 전체의 수입과 지출을 균형을 나타내는 개념이라 볼 수 있다.

  구성

- 상품수지(무역수지) : 상품(물건)을 사고 파는 거래 (수출액 - 수입액)

- 서비스수지 : 운송, 여행 등과 같은 서비스를 사고 파는 거래 (서비스 수출 - 수입)

- 본원소득수지(소득수지) : 배당, 이자, 급여 등의 거래 (해외 투자로부터 얻는 소득 - 외국 투자자에게 지급하는 소득)

- 이전소득수지(경상이전수치) : 국제기구 분담금, 원조, 해외 송금등 대가 없이 오고 가는 돈 

  결과

흑자 : 외국으로부터 벌어들인 돈 > 외국에 지불한 돈 → 외환 보유액 증가, 국가 자본 축적

적자 : 외국으로부터 벌어들인 돈 < 외국에 지불한 돈 → 외환 보유액 감소, 외채 증가 가능

  활용

정책 변화 효과나 경제 발전을 측정하고, 전망하는데 활용

 

 

재정수지 (Fiscal Balance)

국가의 수입과 지출의 차이, 즉 국가 예산이 흑자인지 적자인지 나타내는 지표를 의미한다.

  구성

재정수지 = 재정수입 - 재정지출

재정수입(세입) : 세금 (법인세, 소득세, 부가세 등), 비세수 (배당금, 국유재산 임대료 등)

재정지출(세출) : 국방비, 공무원 인건비, 교육비, 사회복지 지출(연금, 복지, 의료 등)

  결과

균형 : 수입 = 지출 

흑자 : 수입 > 지출 

적자 : 수입 < 지출 → 차입 혹은 국채발행이 늘어나 정부부채 증가 

  활용

정부의 재정 건정성을 평하가는 지표

정부의 재정활동은 거시적으로 가정의 소비와 기업 투자 순환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적정한 형태의 지출과 수입 관리가 필요함.

 

 

결론!

가계수지 = 개인의 살림살이 

경상수지 = 나라의 대외거래

재정수지 = 정부의 살림살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