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경제금융용어 700선2 총부채원래금상환비율 DSR vs 총부채상환비율 DTI 총부채원래금상환비율 DSR (Debt Service Ratio)개인의 상환능력 대비 원리금상환부담을 나타내는 지표로서,개인이 보유한 모든 대출의 연간 원리금상환액을 연간소득으로 나누어 산출된다. ● 산출방법 대출에는 마이너스통장, 신용대출, 전세자금대출, 자동차할부금융 등이 모두 포함된다. ● 활용DSR은 금융권에서 대출 심사 기준으로 아주 유용하게 사용된다.특히 고액의 대출 실행시에는 DSR 30% 이하 등과 같이 제한되어 적용된다.- 높을수록 대출이 어려움또한 가계부채 관리 정책을 관리할 때 정부가 활용하는 핵심 지표이기도 하다. 총부채상환비율 DTI (Debt To Income ratio)개인의 연 소득에서 주택과 관련한 대출비용, 즉 원금과 이자를 갚는데 얼마나 쓰는지를 확인하는 지표로써.. 2025. 9. 6. 가계부실위험지수 (HDRI, Household Debt Risk Index) ● 의미 한국은행과 금융당국이 가계부채의 건전성과 상환 능력을 평가하기 위해 만든 지표.가구의 소득흐름, 금융, 실물 자산을 종합적으로 평가하여 [가계부채의 부실위험을 평가하는 지표] 를 의미함. ● 산출방식- 원리금상환비율 (DSR : Debt Service Ratio), 부채/자산비율 (DTA : Debt To Asset Ratio), 금리 수준 및 변동성 등 다양한 지표들을 조합하여 계산 한국은행 자료에 따르면, 원리금상환비율(DSR) 40% + 부채/자산비율 (DTA) 100% = 가계부실위험지수 (HDRI) 100 * DSR : '소득' 측면에서 채무상환능력 평가* DTA : '자산' 측면에서 채무상환능력 평가 DSR이 40%, DTA가 100%일 때 가계부실위험지수(HDRI)를 100으.. 2025. 9. 3.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