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_하루/STUDYING_[경제공부]

가교은행 (Bridge Bank)

또밤_ 2025. 9. 29. 07:52
반응형

 

 

가교은행 (Bridge Bank)

파산한 금융기관의 자산과 부채를 넘겨받아 예금, 출금 등의 기본 업무를 대행고,

합병, 채권채무관계 조정, 매각과 같은 후속조치를 수행하는 임시적 은행을 의미한다

 

가교은행은 금융기관 파산 혹은 인가가 취소되면 예금보험기구 등 공적기관이 설립한다.

<가교은행>의 역할

① 파산한 금융기관의 자산과 부채 규모를 감안하여 예금인출 동결조취 진행

② 가교은행의 명의로 입금, 출금, 수출입 업무 등 최소한의 은행업무 수행

③ 재무상태 파악 및 평가 후 후속 인수자 탐색

최종 : 채권/채무를 인수한 후 새로운 주인을 찾아 파산한 금융기관을 매각 or 인수자가 없을 경우 청산 절차 진행

<가교은행>의 효과

- 은행 파산으로 발생하는 사회, 경제적 충격 완화 

- 인수자 모색에 필요한 시간적 여유 확보 

- 인수 전까지 정상적인 은행업무를 지속하여 은행이 인수될 때까지 사권 가치를 유지 함

- 기존 고용관계 파기를 통해 새 인수자의 부담을 줄여줌

 

 

 

<국내 성공 사례>

1997년 IMF 당시, 제일은행, 한일은행, 평화은행, 서울은행 등이 가교은행을 통해 처리 되었으며, 서울은행, 평화은행은 각각 하나은행과 우리은행에 인수되었음.

또한 2011년 부산저축은행 부실 사태시 가교가교은행 방식으로 처리, 가교저축은행 운영을 통해 빠르게 정상화 함.

 

 

반응형